728x90
반응형

2009/01/21 3

이클립스에서 Dynamic Web Project 시작하기

항상 기본 Pojo Java만 공부하다가 이클립스로 Servlet & JSP를 이용하는 Dynamic Web Project를 시작하게 되니 여간 헷깔리는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정리 차원에서 블로그에 올려본다. 1. 일단 이클립스에는 WTP(Web Tools Platform)을 설치해야 한다. 설치하지 않을 경우 'New -> Project'에서 Dynamic Web Project가 보이지 않는 것 같다. 다운은 http://download.eclipse.org/webtools/downloads/ 에서 받아도 되며, 이클립스 자체에서 업데이트 해도 된다. 이클립스 자체에서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가니마데와 유로파가 서로 UI가 좀 틀린 듯 하다. 아래는 유로파 기준이다.) 위와 같이 한 후 ..

MVC 식 Servlet 사용

Head First Servlet & JSP 책을 통해 알게 된 MVC 식 Servlet 예제를 통해 기본적인 Servlet & JSP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확인해 본다. 기본적인 디렉토리는 아래와 같다는 가정하에 작업을 한다. 1. 디렉토리 구성 src밑에 com.example.web 패키지와 com.example.model 패키지를 만든다.(패키지는 디렉토리와 같은 개념이다.) web 디렉토리 밑에는 일반적인 servlet이 들어가며, model 밑에는 Pojo Java가 들어간다. 기본적인 html 파일인 form.html과 결과값을 처리할 jsp 파일인 result.jsp 파일은 WebContent 밑에 들어간다. 2. web.xml 작성 WebContent/WEB-INF/web.xml에 다음과 같..

Java/Servlet & JSP 2009.01.21

Servlet의 작성

php에서는 DocumentRoot 아래에 있는 물리적인 디렉토리와 물리적인 파일을 호출하게 된다. 반면에 Java(Servlet)에서는 web.xml을 통해 url과 물리적인 servlet class를 맵핑 시켜서 호출하게 된다. 맵핑 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위와 같은 디렉토리가 있다면, "WebContent/WEB-INF/web.xml" 파일을 열어 맵핑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web.xml 파일은 기본으로 생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Chapter1 Servlet Ch1Servlet Chapter1 Servlet /Serv1 위와 같이 작성을 하게 되면 물리적인 servlet 파일을 찾아가는 flow는 다음과 같다. 1. http://localhost:8080/Serv1을..

Java/Servlet & JSP 2009.01.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