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07/05/15 3

벼래별 사기꾼 회사가 다 있군요 -.-;;

[네이버뉴스를 표방한 fishing] 위에 사이트를 들어가면 네이버 뉴스와 같은 화면이 뜬다. 그런데 정작 링크는 이상한 로또 사이트로 이어진다. 전체 화면이 링크가 걸린 것이다. (해당 사이트에서 클릭하지 마세요 ^^ 책임 못 집니다. ^^) 정말 이렇게 까지 해서 살아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 제 아이디로 로그인 되어 있는게 이상해서 소스를 분석해 보니 다음과 같네요. iframe 내에 naver news를 넣어두고 그 위에 레이어를 깐 다음 레이어 클릭 시 자기내 사이트로 오게끔 해 놨네요. 정말 잘 알지 못하는 사람 같으면 낚일 텐데... 이런 스팸 사이트 좀 제발 없어줘 줬으면 좋겠습니다 -.-;;

기사를 쓰는데는 저작권이 없는 것인가?

재미 있는 기사 하나를 보고서 거기에 달린 코멘트 하나를 보다가 문득 위의 제목과 같은 생각이 들었다. 일반 블로거들이 쓰면 저작권 위반 운운하는데, 기자가 쓰면 아무런 제재없이 쓰는 것을 보면... 아이러니 하기도 하다. 무슨 법이 따로 있는 것인가? 만일 기자가 아무런 제재없이 가져다 쓸 수 있는 거라면, 우리도 그냥 가져다 써도 되는거 아닌가? 갑자기 궁금해 진다. 정답이 무엇일까?

MySQL에서 대소문자 구별해서 쿼리하기

100만건이 조금 넘는 MyISAM 테이블이 있었다. 주소록 그룹 관련 테이블인데, 유저당 그룹 이름이 중복될 수 없었다. 그런데 기존에는 nhn과 NHN이 서로 같은 것이라고 생각해서 디비 내에서 대소문자가 틀린 경우에는 새로운 그룹을 추가하거나 기존 그룹의 이름을 수정할 수 없었다. 뭐 간단하게 BINARY로 해당 컬럼의 속성을 변경해도 되겠지만... innoDB도 아닌 MyISAM 테이블에 100만건이니 ALTER 한번만 쳐도 수시간은 잡아 먹을 듯 했다. 그래서 메뉴얼을 뒤졌더니... 역시나 ^^ BINARY라는 Cast Function을 쓰면 되는 것이었다. 복잡하게 해결해야 만 될것같은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역시 모든 문제의 해결책은 메뉴얼이다.

Server/DB 2007.05.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