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09/01 11

Session 관리

클라이언트와 지속적인 연결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이 http protocol의 특징이므로, 이전 요청한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서 Session을 사용한다. 컨테이너(톰캣) 단에서 Session ID를 발행하고, 해당 Session ID와 Cookie를 맵핑 한 다음 해당 쿠키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도록 하면 클라이언트를 구분해서 받을 수 있다. * 세션 ID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HttpSession session = request.getSession(); 위와 같이 하게 되면, request로부터 세션 ID를 가지고 올 수 있고, 제일 처음 요청이라면 response 객체에 보낼 쿠키도 생성하게 된다. * 세션이 이미 있는지, 아니면 처음 요청으로 새롭게 만들게 되었는지를..

Java/Servlet & JSP 2009.01.30

스레드 안전한 ServletContext 만들기

스레드 안전이란 말은 어떤 속성에 set을 한 다음 get을 하기 전에 다른 무엇인가가 해당 속성에 set을 해서 내가 set한 속성 값을 그대로 get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ServletContext에서도 스레드 안전이 보장되지 못한다. 즉 다음과 같이 코딩하게 되면 잘못된 결과가 리턴될 수도 있다는 말이다.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out.println("test context a..

Java/Servlet & JSP 2009.01.29

으하하하하 첫 귀속 아이템이 떳습니다.

제가 주로 하는 겜 중에 '스키드러쉬'란 오락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아이템을 변형해서 좋은 옵션이 달리도록 하는 '변형' 이라는 시스템이 있는데요. 여기서 1등 옵션이 나오기가 하늘의 별따기 입니다. 그래서 일명 로또 시스템 이라고 하죠 그런데 여기서 3등에 당첨 됬습니다. 파츠와 옵션 변형 용액을 넣고 변형하기를 누르면 옵션이 변형 되는데 2km 변형 나오기도 힘든게 이 시스템입니다. 보통 10point가 1km인데 3등으로 3km + 2km 짜리가 나오다니 ^^;; 순간 어안이 벙벙하고 기분이 너무 좋데요 ㅎㅎ 온라인 겜 폐인 양상 기사 같은 것을 보고 어떻게 저런게 생길 수 있지? 라는 생각을 했는데, 이런식으로 사람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보면 어느정도 이해가 가네요 ^^;; 아래 사진은 제 첫 ..

ServletContext 이용하기

ServletConfig는 해당 서블릿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Web App 내에서 공통적인 내용을 가져다 사용하려면 ServletContext를 사용할 수 있다. ServletContext는 ServletConfig와 마찬가지로 web.xml을 사용하며, 따라서 바로 사용하려면 String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ServletContextListener를 이용하면 객체 역시 Web App 전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ServletContextListener는 서블릿이 로딩 되기 전, 컨테이너(ex:톰캣) 차원에서 initialize 하고 destroy 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속성을 이용해서 컨테이너가 ServletContextListener를 로딩할 때 context-param을 추가한 후,..

Java/Servlet & JSP 2009.01.23

나눔고딕용 코딩 글꼴이 배포되고 있네요.

나눔 고딕을 사용한 코딩용 글꼴이 배포되고 있네요. 배포 되고 있는 url은 http://dev.naver.com/projects/nanumfont 이며 윈도우, 리눅스 용으로 배포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현재 윈도우 용을 다운로드 받아서 에디트 플러스에서 한번 살펴 보니 아래 스냅샷과 같이 보입니다. 배포 사이트에서 나눔 고딕 코딩용 글꼴과 관련해서 아래와 같은 내용을 말하고 있네요. 고정폭 형식으로서 소스코드 편집을 위한 각종 편집기나 터미널에서 가독성을 높였고, 알파벳 대문자 아이(I)와 알파벳 소문자 엘(l), 숫자 1, 숫자 0과 알파벳 대문자 오(O) 혹은 알파벳 소문자 오(o) 등등 혼동되기 쉬운 문자들을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게 하여 원치 않는 코딩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Develop?/News 2009.01.22

ServletConfig 이용하기

web.xml에 config 정보를 정의하고 해당 내용을 servlet에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web.xml 작성 BeerParamTests com.example.TestInitParams adminEmail likewecare@wickedlysmart.com mainEmail blooper@wickedlysmart.com BeerParamTests /Tester.do init-param을 통해서 param-name(변수명)을 정하고 param-value에 값을 넣은 후 사용할 수 있다. 2. com.example.TestInitParams.java 작성 package com.exampl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

Java/Servlet & JSP 2009.01.22

이클립스에서 Dynamic Web Project 시작하기

항상 기본 Pojo Java만 공부하다가 이클립스로 Servlet & JSP를 이용하는 Dynamic Web Project를 시작하게 되니 여간 헷깔리는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정리 차원에서 블로그에 올려본다. 1. 일단 이클립스에는 WTP(Web Tools Platform)을 설치해야 한다. 설치하지 않을 경우 'New -> Project'에서 Dynamic Web Project가 보이지 않는 것 같다. 다운은 http://download.eclipse.org/webtools/downloads/ 에서 받아도 되며, 이클립스 자체에서 업데이트 해도 된다. 이클립스 자체에서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가니마데와 유로파가 서로 UI가 좀 틀린 듯 하다. 아래는 유로파 기준이다.) 위와 같이 한 후 ..

MVC 식 Servlet 사용

Head First Servlet & JSP 책을 통해 알게 된 MVC 식 Servlet 예제를 통해 기본적인 Servlet & JSP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확인해 본다. 기본적인 디렉토리는 아래와 같다는 가정하에 작업을 한다. 1. 디렉토리 구성 src밑에 com.example.web 패키지와 com.example.model 패키지를 만든다.(패키지는 디렉토리와 같은 개념이다.) web 디렉토리 밑에는 일반적인 servlet이 들어가며, model 밑에는 Pojo Java가 들어간다. 기본적인 html 파일인 form.html과 결과값을 처리할 jsp 파일인 result.jsp 파일은 WebContent 밑에 들어간다. 2. web.xml 작성 WebContent/WEB-INF/web.xml에 다음과 같..

Java/Servlet & JSP 2009.01.21

Servlet의 작성

php에서는 DocumentRoot 아래에 있는 물리적인 디렉토리와 물리적인 파일을 호출하게 된다. 반면에 Java(Servlet)에서는 web.xml을 통해 url과 물리적인 servlet class를 맵핑 시켜서 호출하게 된다. 맵핑 시키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위와 같은 디렉토리가 있다면, "WebContent/WEB-INF/web.xml" 파일을 열어 맵핑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web.xml 파일은 기본으로 생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Chapter1 Servlet Ch1Servlet Chapter1 Servlet /Serv1 위와 같이 작성을 하게 되면 물리적인 servlet 파일을 찾아가는 flow는 다음과 같다. 1. http://localhost:8080/Serv1을..

Java/Servlet & JSP 2009.01.21

운전들 좀 제대로 합시다. 제발... Please...

운전 면허를 딴지 16년 째지만, 아직도 운전을 할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운전들 정말 거지 같이 하는 사람 많다. 개그 콘서트에서 16년간 한가지 일을 하게 되면 달인 이라는 말을 하는데, 운전을 16년간 해도 운전 할 때마다 항상 살얼음 판을 걷는 느낌이다. 오늘 아침에도 출근 길에 운전을 하고 오는데, 뒤에 오는 차량에 충분한 간격이 있어서 차선 변경을 하게 되었다. 차선 변경을 하니까 그 모습을 못 보고 바로 가속 페달을 쭉 밟아서 내차 뒤로 붙여 되는 모습이란... 상향등을 켜대고 크랙션을 눌러대는 한심한 꼴이란 참 가관이더라... 신호등을 어기는 것은 기본이고 레이싱 트랙에서 달리는 것처럼 서로 이기려 하는 그런 자세... 남들 다 차선대로 가고 있는데, 갓길이나 옆 차선을 통해서 앞질러 와서..

인생이야기 2009.01.08
728x90
반응형